유아교사가 현장에서 흔들리지 않기 위해 꼭 붙들어야 할 ‘기본 가치’ 7가지

이미지
현장에서 매일 아이들과 호흡하는 교사는 누군가의 하루를 바꾸고, 마음에 온도를 남기고, 성장의 기반을 만들어주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아이들의 감정은 순간순간 달라지고, 부모와의 소통도 늘 쉽지만은 않죠. 교사 스스로도 여러 감정과 상황 속에서 흔들릴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더 중요한 건 “어떤 가치를 중심에 두고 아이를 바라보느냐” 입니다. 그 기준이 분명해질 때, 교사는 지치지 않으며 아이에게도 더 안전한 사람이 됩니다. 오늘은 루핀의 감정육아 블로그에서 유아교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7가지 기본 가치 를 정리해봅니다. 현장에서 힘을 잃지 않도록, 마음의 기준점이 되어줄 이야기예요. 1. 아이의 안전과 존중을 최우선에 두기 교사의 모든 판단은 결국 여기로 돌아옵니다. “이 상황에서 아이가 가장 안전하고 존중받을 수 있을까?” 신체적 안전뿐 아니라,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게 하는 정서적 안전 , ‘틀렸다’고 평가받지 않는 언어적 안전 까지 포함됩니다. 안전은 가장 기본의 가치이자, 어떤 상황에서도 흔들려선 안 되는 기준입니다. 2. 아이의 ‘시선’에서 상황 바라보기 아이들의 행동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투정도, 떼도, 느림도 다 이유가 있어요. 교사가 묻는 단 하나의 질문, “이 아이는 지금 어떤 마음이었을까?” 이 질문이 아이의 행동을 다르게 보이게 하고, 개입 방식도 달라지게 만듭니다. 3. 따뜻하지만 일관된 태도 유지하기 아이들은 “예측할 수 있는 하루” 에서 안정감을 느낍니다. 감정에 따라 되는 것과 안 되는 것이 바뀌면 아이에게는 불안으로 다가오죠. 따뜻한 말투와 동시에 일관성 있는 경계 세우기 . 이 두 가지가 균형을 잡아줄 때 아이는 편안함을 느낍니다. 4. 아이의 작은 성장을 발견하고 기록하기 교사의 눈에 담기는 작은 변화들은 아이에게는 커다란 성장의 증거입니다. 오늘 조금 더 기다려...

부모가 지쳐 있으면, 아이도 상처받습니다 I 감정 코칭은 부모 자신에게 먼저 필요해요

 

부모가 지치면 아이도 상처받습니다 - 감정 코칭은 부모 자신에게 먼저 필요해요

“왜 이렇게 자꾸 화가 날까…”

“아이에게 화를 내고 나면 늘 후회해요.”
“내 감정을 알아주는 사람이 없어요.”
“나는 엄마이기 전에 한 사람인데, 너무 잊고 살았던 것 같아요.”

육아는 기쁨이자 동시에, 끊임없는 감정 노동이에요.
아이를 먹이고, 달래고, 재우다 보면 내 마음은 점점 말라가고 있다는 걸 나중에야 깨닫게 됩니다.

부모의 감정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

말보다 더 크게, 감정은 전달돼요.
아이는 말이 아니라, 부모의 표정·말투·분위기로 감정을 먼저 느낍니다.

  • 😔 부모가 지쳐 있으면 아이도 불안해져요
  • 😠 감정 조절이 안 되면 아이는 혼란을 겪어요
  • 😢 부모가 행복하지 않으면 아이도 웃기 어려워요

부모의 감정 상태는 아이의 정서 안전망이에요.
‘행복한 육아’를 위해선 부모 감정관리가 가장 먼저예요.

육아 번아웃을 막는 부모 자기돌봄 실천법

감정을 다스리고 말로 표현하는 힘은 스스로를 돌볼 줄 아는 부모에게서 시작돼요.

  • 🧘 하루 10분 ‘나만의 정적’ 만들기
    커피 마시기, 조용히 걷기, 음악 듣기
  • 📝 내 감정에 이름 붙이기
    “오늘 나는 속상했어. 왜냐하면…”
  • 🎯 완벽한 부모가 되려는 부담 내려놓기
    “나는 지금도 충분히 노력하고 있어.”
  • 👨‍👩‍👧‍👦 육아 부담 나누기
    “오늘 나 진짜 지쳤어”라고 말해보세요.

감정 코칭, 이렇게 실천해보세요

❌ “왜 또 그래! 그만 좀 해!”
✅ “속상했어? 엄마도 지금 마음이 조금 힘들어.”

감정을 억누르지 말고, 이름 붙여 표현해주세요.
이런 말은 아이에게도 감정 표현을 가르치는 기회가 됩니다.

오늘 하루, 나에게 물어보세요

“오늘 나를 돌본 시간이 있었나?”
“내 감정은 지금 어떤 색일까?”

잠깐 멈춰 ‘내 마음’을 들여다보는 시간이
아이에게 더 따뜻한 부모가 되는 첫걸음입니다.


📥 [무료 PDF 다운로드]
👉 부모 감정코칭 체크리스트 & 자기돌봄 실천표 받기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자율성은 허용이 아니다! 감정코칭으로 키우는 아이의 선택력

우리 아이 말이 늦어요?|24~36개월 언어지연 기준과 부모가 꼭 알아야 할 신호

아이 자존감 키우는 칭찬 체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