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사가 현장에서 흔들리지 않기 위해 꼭 붙들어야 할 ‘기본 가치’ 7가지

이미지
현장에서 매일 아이들과 호흡하는 교사는 누군가의 하루를 바꾸고, 마음에 온도를 남기고, 성장의 기반을 만들어주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아이들의 감정은 순간순간 달라지고, 부모와의 소통도 늘 쉽지만은 않죠. 교사 스스로도 여러 감정과 상황 속에서 흔들릴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더 중요한 건 “어떤 가치를 중심에 두고 아이를 바라보느냐” 입니다. 그 기준이 분명해질 때, 교사는 지치지 않으며 아이에게도 더 안전한 사람이 됩니다. 오늘은 루핀의 감정육아 블로그에서 유아교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7가지 기본 가치 를 정리해봅니다. 현장에서 힘을 잃지 않도록, 마음의 기준점이 되어줄 이야기예요. 1. 아이의 안전과 존중을 최우선에 두기 교사의 모든 판단은 결국 여기로 돌아옵니다. “이 상황에서 아이가 가장 안전하고 존중받을 수 있을까?” 신체적 안전뿐 아니라,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게 하는 정서적 안전 , ‘틀렸다’고 평가받지 않는 언어적 안전 까지 포함됩니다. 안전은 가장 기본의 가치이자, 어떤 상황에서도 흔들려선 안 되는 기준입니다. 2. 아이의 ‘시선’에서 상황 바라보기 아이들의 행동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투정도, 떼도, 느림도 다 이유가 있어요. 교사가 묻는 단 하나의 질문, “이 아이는 지금 어떤 마음이었을까?” 이 질문이 아이의 행동을 다르게 보이게 하고, 개입 방식도 달라지게 만듭니다. 3. 따뜻하지만 일관된 태도 유지하기 아이들은 “예측할 수 있는 하루” 에서 안정감을 느낍니다. 감정에 따라 되는 것과 안 되는 것이 바뀌면 아이에게는 불안으로 다가오죠. 따뜻한 말투와 동시에 일관성 있는 경계 세우기 . 이 두 가지가 균형을 잡아줄 때 아이는 편안함을 느낍니다. 4. 아이의 작은 성장을 발견하고 기록하기 교사의 눈에 담기는 작은 변화들은 아이에게는 커다란 성장의 증거입니다. 오늘 조금 더 기다려...

12~18개월 아기 떼쓰기, 자기주장 발달 시기 이렇게 대응하세요 | 부모반응 가이드

12~18개월 자기주장 시기 부모 반응 가이드 썸네일 이미지 - 감정 조절을 배우는 아이를 표현한 일러스트

“12개월이 지나면서 아이가 고집을 부리고, ‘안 돼’에 큰 반응을 보여요.”
“떼를 쓰고, 드러눕고, 혼자 하겠다고 울기도 해요.”


이 시기의 아기 행동, 혹시 잘못된 걸까요?
사실은 아닙니다. 바로 ‘자기주장 발달기’의 시작

🔍 자기주장 발달기란?

자기주장 발달기는 아기가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표현하기 시작하는 중요한 시기예요.
특히 12~18개월 아기행동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아요.

📌 12~18개월 아기의 대표적인 떼쓰기 행동

  • “안 돼”라는 말에 큰 소리로 울거나, 소리를 지르기
  • 바닥에 드러눕기, 물건 던지기,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기
  • 부모의 도움을 거부하고 혼자 하려고 시도
  • 감정을 조절하지 못해 울며 토하거나 격한 반응 보이기

이런 행동은 고집이 아니라 감정 조절 기능이 미성숙한 아기의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이에요.
이 시기 아기의 행동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반응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12~18개월 아기, 부모는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요?

떼쓰기는 아기의 ‘감정 표현’이지 ‘버릇 없음’이 아니에요.
부모의 반응과 태도에 따라 아기의 감정 조절 능력과 자존감이 형성됩니다.

✅ 자기주장 발달기 부모 반응 가이드

아기 행동부모의 반응
물건을 던지거나 드러눕기 “속상했구나. 그런데 던지면 다칠 수 있어. 엄마가 도와줄게.”
부모 도움 거부 “혼자 해보고 싶구나~ 그래, 해보자. 엄마는 옆에서 지켜볼게.”
소리 지르거나 울며 토하기 “마음이 너무 답답했구나. 울어도 괜찮아. 엄마가 여기 있어.”
작은 일이라도 스스로 해낸 경우 “우와! 혼자 해냈네! 정말 멋지다~” (자신감 강화)

🌱 자기주장 발달기의 핵심은 감정 공감 + 일관된 경계

이 시기에는 무조건 허용하거나, 무조건 단호하게만 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아요.
“감정은 공감하고, 행동은 가이드하는 것”이 부모의 역할입니다.

아기가 원하는 대로 다 해주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마음을 이해하고, 어떻게 행동하면 좋은지 알려주는 것.
그것이 바로 건강한 훈육의 시작입니다.

📌 부모 체크리스트

  • 감정을 대신 말로 표현해 주세요.
    “하고 싶었는데 안 돼서 속상했지?”
  • 혼자 하려는 시도를 지지하되, 위험한 상황은 단호히 멈추기
  • 작은 성공에도 큰 칭찬을 해 주세요 (자존감과 자기조절력의 밑거름)

✅ 마무리하며

12~18개월 아기의 떼쓰기는 자기주장이 자라나는 ‘긍정적인 신호’예요.
지금 이 시기를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아이의 감정 표현 방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다음 편에서는 “18~24개월 자기주장 폭발기”를 소개할게요!
📥 ‘자기주장 발달기 부모 반응 가이드 PDF’가 필요하신 분은 다운로드 받아서 적용해보세요.

📚 함께 보면 좋아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자율성은 허용이 아니다! 감정코칭으로 키우는 아이의 선택력

우리 아이 말이 늦어요?|24~36개월 언어지연 기준과 부모가 꼭 알아야 할 신호

아이 자존감 키우는 칭찬 체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