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사가 현장에서 흔들리지 않기 위해 꼭 붙들어야 할 ‘기본 가치’ 7가지

이미지
현장에서 매일 아이들과 호흡하는 교사는 누군가의 하루를 바꾸고, 마음에 온도를 남기고, 성장의 기반을 만들어주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아이들의 감정은 순간순간 달라지고, 부모와의 소통도 늘 쉽지만은 않죠. 교사 스스로도 여러 감정과 상황 속에서 흔들릴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더 중요한 건 “어떤 가치를 중심에 두고 아이를 바라보느냐” 입니다. 그 기준이 분명해질 때, 교사는 지치지 않으며 아이에게도 더 안전한 사람이 됩니다. 오늘은 루핀의 감정육아 블로그에서 유아교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7가지 기본 가치 를 정리해봅니다. 현장에서 힘을 잃지 않도록, 마음의 기준점이 되어줄 이야기예요. 1. 아이의 안전과 존중을 최우선에 두기 교사의 모든 판단은 결국 여기로 돌아옵니다. “이 상황에서 아이가 가장 안전하고 존중받을 수 있을까?” 신체적 안전뿐 아니라,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게 하는 정서적 안전 , ‘틀렸다’고 평가받지 않는 언어적 안전 까지 포함됩니다. 안전은 가장 기본의 가치이자, 어떤 상황에서도 흔들려선 안 되는 기준입니다. 2. 아이의 ‘시선’에서 상황 바라보기 아이들의 행동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투정도, 떼도, 느림도 다 이유가 있어요. 교사가 묻는 단 하나의 질문, “이 아이는 지금 어떤 마음이었을까?” 이 질문이 아이의 행동을 다르게 보이게 하고, 개입 방식도 달라지게 만듭니다. 3. 따뜻하지만 일관된 태도 유지하기 아이들은 “예측할 수 있는 하루” 에서 안정감을 느낍니다. 감정에 따라 되는 것과 안 되는 것이 바뀌면 아이에게는 불안으로 다가오죠. 따뜻한 말투와 동시에 일관성 있는 경계 세우기 . 이 두 가지가 균형을 잡아줄 때 아이는 편안함을 느낍니다. 4. 아이의 작은 성장을 발견하고 기록하기 교사의 눈에 담기는 작은 변화들은 아이에게는 커다란 성장의 증거입니다. 오늘 조금 더 기다려...

“울지 마” 대신 이렇게 말해보세요|감정을 수용하는 부모 말투 (말 바꾸기 시리즈 1편)

아이에게 가장 자주 하게 되는 말,
그중 하나가 “울지 마” 아닐까요?

하지만 그 말이 아이에게 어떻게 들리는지
한 번쯤 생각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 아이의 눈에서 “울지 마”는 어떤 의미일까요?

아이에게 울음은 감정을 표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에요.

그런데 그 울음을 “멈춰”라고 하면,
아이 입장에선 감정을 표현할 권리를 빼앗기는 느낌일 수 있어요.

결과적으로는 더 크게 울거나,
감정을 억누르는 법을 배워버릴 수도 있답니다.


🧠 감정 표현은 아이에게 필수 능력이에요

아이들은 아직 말로 감정을 잘 표현하지 못해요.

그래서 울음, 짜증, 떼쓰기 같은 방법으로 표현하죠.

이때 부모가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주면,
아이 스스로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기초가 생깁니다.


🗣 “울지 마” 대신 이렇게 말해보세요

❌ 흔한 표현 ✅ 감정수용형 표현
“울지 마!” “속상했구나”
“그만 울어” “마음이 많이 아팠구나?”
“이 정도로 울 일은 아니야” “그랬구나, 그렇게 느꼈구나”
“괜찮아” “말해줘서 고마워”

이런 말들은 아이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인정해주는 말이에요.
"내 감정은 괜찮은 거구나"라는 안정감을 줍니다.


📌 실제 상황 예시

장난감이 망가져서 바닥에 주저앉아 우는 아이.
예전 같으면 "울지 마! 금방 고쳐줄게!"라고 했을 거예요.

하지만 이렇게 말해봤어요.

“속상했구나. 이거 정말 아끼던 거였지?”

감정을 먼저 알아주는 말 한마디,
그게 바로 감정코칭의 시작이었어요.


🌱 부모의 말투가 아이의 감정언어를 만듭니다

아이의 감정 표현은 부모의 언어에서 시작됩니다.

"울지 마"가 아닌 "속상했구나"
이 한마디가 아이의 자존감을 키우고,
감정 조절 능력을 성장시켜요.

작은 말의 변화가,
아이의 내면을 따뜻하게 만들어줄 수 있어요.


💡 더 많은 부모코칭이 필요하다면?

루핀의 감정육아 블로그에서는
아이 행동 이해, 감정놀이, 부모 말투 개선에 대한
실천적인 코칭 콘텐츠를 나누고 있어요.

감정이 흐르는 육아, 우리 함께 해요 😊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자율성은 허용이 아니다! 감정코칭으로 키우는 아이의 선택력

우리 아이 말이 늦어요?|24~36개월 언어지연 기준과 부모가 꼭 알아야 할 신호

아이 자존감 키우는 칭찬 체크리스트